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 < 069 금강계 만다라 > 2021년 12월 30일 木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4건 조회 1,460회 작성일 21-12-30 07:23본문
< 법구경 >
342
애욕에 휘감겨 달리는 중생은
그물에 걸린 토끼와 같다.
번뇌와 집착에 꽁꽁 묶이어
얼마나 많은 생의 괴로움을 받는가!
보이기 위하여 숨기는 경우가 있다.
숨기기 위하여 보이는 경우가 있다.
우리에게서 도망하면서 우리를 정복하고,
우리를 피하면서 우리를 포로로 하는 여성이 있는 것처럼.

069 금강계 만다라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태장계 만다라가 모든 중생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법신의 원리를 강조하는데 비해서, 금강계 만다라는 수행에 의해서 중생의 사량 분별심을 지혜로 돌리는 전식득지轉識得智를 강조한다. 원리를 중히 여기다 보면, 태장계 쪽에는 본래 갖추어 있는 것, 평등한 것, 본래의 깨달음, 근본의 씨앗, 육체적인 면에 더 관심을 갖게 된다. 반면에 깨달음의 지혜를 중히 여기다 보면, 금강계 쪽에는 수행의 노력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 차별적인 것, 후천적으로 얻는 깨달음, 씨앗을 키워서 얻는 열매, 정신적인 면에 더 관심을 갖게 된다.
금강계 만다라는 9회로 되어 있어서 9회九會 만다라라고도 한다. 금강이란 어떤 번뇌에 의해서도 부서지지 않는 지혜를 뜻하고, 9회에서의 회는 만다라를 의미한다. 전식득지로 금강의 지혜를 얻는 경지를 표현하는 만다라가 아홉 개 모여진 복합 만다라라는 것이다. 금강계 만다라도 밀교 전문가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다. 선무외善無畏 계통의 대만다라, 금강지金剛智 계통의 81존 만다라, 불공不空 계통의 9회 만다라 등이다. 현도現圖 만다라는 저 가운데 9회 만다라를 계승한 것이다.
9회는 갈마, 삼마야三摩耶, 미세微細, 공양供養, 사인四印, 일인一印, 이취理趣, 항삼세降三世, 항삼세삼마야降三世三摩耶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갈마회에 있어서의 갈마는 행동의 뜻으로 성신회成身會 또는 근본회根本會라고도 한다. 각 회는 네모꼴로 이루어져 있는데, 갈마회가 중앙에 위치하고, 그 아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8회가 둘러싸이니, 다시 전회가 네모꼴을 이룬다. 1회에서부터 7회까지는 「 금강정경 」의 「금강계품」에, 나머지 8~9회는 「 항상제품 」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만다라의 수가 많지만 중앙에 위치한 갈마회가 기본을 이루고 여타는 저 갈마회의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인 특징을 이리저리 표현한 것일 뿐이다. 갈마회에서 대일여래가 중앙에 자리하고 사방에 아촉여래, 보생여래, 아미타여래, 불공성취여래가 둘러 싸여서 5불五佛을 이룬다. 법계체성지法界體性智를 비롯한 5지五智의 하나씩을 얻은 부처님들이다.
이로 인해 5라는 숫자는 방향, 색깔, 손 모양, 자리 모양, 각형角形, 5대五大, 불상의 모양 등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중앙에 대일여래가 부처님의 기본적인 적정상寂靜相을 취하고 있을 때, 나머지 4여래는 각기 분노한 모습, 환희에 찬 모습, 청량한 모습, 구제 활동을 하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그러고 보니 각 여래의 자세에 따라서 그에 배속된 방향, 색깔, 각형, 손 모양 등의 상징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검정색은 분노하는 불상의 모습을 상징하고, 노란색은 환희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대일여래 주변에는 다시 4바라밀을 상징하는 4보살이 위치하고, 4방의 각 여래에게도 교리적 의미를 가진 4보살들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둥근 모양이나 사각 모양을 겹겹이 두르고, 4의 숫자로 더해지는 존상들이 연속적으로 모여져서 대일여래를 중심으로 한 37존과 갈마회 전체적으로는 1061존이 있게 된다. 그런데 아무리 부처님, 보살님, 여타 존상들이 많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존상들은 대일법신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하나씩 표현한 것일 뿐이다. 모든 존상을 하나로 만들면 대일여래가 되고, 대일여래가 가진 지혜, 발원, 수행, 구제력 등을 펼치면 무수히 많은 존상이 된다.
금강계 만다라의 제1회를 우리가 앞 장에서 공부한 4만다라 가운데 대만다라와 같다면, 그 다음의 3회 3만다라와 같다. 제5 사인회는 제4회를 통합해서 설명하고, 제6일인회는 모든 회가 대일법신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알리려고 한다. 제7이취회는 소극적으로 번뇌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역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려고 하고, 제8회와 제9회는 대일법신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분노상이나 포악상을 지어서 번뇌를 쳐부수는 것을 나타내려고 한다.
















- 이전글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 < 070 삼밀의 수행 > 2021년 12월 31일 金 21.12.31
- 다음글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 < 068 태장계 만다라 > 2021년 12월 29일 수 21.12.29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보시의 공덕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경전의 가르침을 보시하면 큰 지혜를 얻게 되고
의약을 보시하면 질병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되며
밝은 등불을 보시하면 항상 눈이 밝아지며
음악을 보시하면 목소리가 아리따워지며
침구를 보시하면 편안한 생활을 하게 되고
좋은 밭을 보시하면 항상 창고가 가득차게 된다
ㅡ 육취 윤회경
< 서시 > / 류시화
누가 나에게
옷 한 벌을 빌려주었는데
나는 그 옷을
평생 동안 잘 입었다
때로는 비를 맞고
햇빛에 색이 바래고
바람에 어깨가 남루해졌다
때로는 눈물에 소매가 얼룩지고
웃음에 흰 옷깃이 나부끼고
즐거운 놀이를 하느라
단추가 떨어지기도 했다
나는 그 옷을 잘 입고
이제 주인에게 돌려준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시를 몹시 사랑하시는
정광월 보살님께서
추천해 주신
류시화 시인의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
라는 시집을 어제 도서관에서 빌려 왔습니다.
가장 마음에 먼저 와닿은 #서시를 게시했습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해뜨는 모습 ! 감동입니다. 우리들의 모델 부처님처럼 ... .마라의 등장 .우리의 소림 내마음은 하나가 건강한마음이 나올때 감사하지요?! 아공법공 깨달은혜 자비심이 한량없는 혜 왜내마음이 떠도는가? 도인이한가로움을 노래하는이유 아뢰인식서 성난파도를다스려라 .끈임없이 자아감각을 다스려라 .내가집중하는 습관을 노력해볼즘 대일여래 금강계 만다라 126가지의 질문 울들은 학습이 필요한 수행의 필수인듯 감사함을 느낀다 . 재미있고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생기발랄하신 큰보살, 원만행 보살님!~
청정해역 안면도 앞바다의 해뜨는 모습은 언제나 감동입니다.
어느 하루도 같은 날이 없지요.
하늘과 구름과 바람이 빚어내는 일출의 장관 ㅡ
그 순간을 포착하려고
전국 각지에서 새벽부터 몰려드는 진사님들의 미술혼이 부럽지요.
저는 아직 무명에 쌓여 있어 큰스님 법문이 갈수록 어려운 편입니다.
소중한 댓글 감사 감사드립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