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 { 안면암 일기 } : < 무아와 나의 기능 ; {석지명 큰스님의 한 권으로 읽는 불교 교리} 중에서 > …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3건 조회 1,961회 작성일 21-10-12 22:48

본문


법구경

264

이른바 사문이란,

머리를 깎았다, 그것 아니다.

말이 거짓되고, 마음에 탐욕 있어,

계가 없으면 범부와 같나니.

 

고통과 분잡은 대개 목적과 수단을 혼동하고, 주객을 전도하는 관념의 소산이다.

그러나 그 목적과 수단이 구별되는 세계에는, 아직도 완전한 자유과 자율적인 활동이 있을 수 없다.

지성(至誠)한 마음, 순일한 태도에는 권(權), 실(實)이 병행한다.

 

무아와 나의 기능


    불교의 기본 교리는 연기법이고, 연기법은 모든 것이 의존 관계에 있다고 가르친다. 의존 관계에 있다는 것은 고정적인 실체가 없다는 것을 뜻하고, 이것을 나에게 적용시키면 나의 실체가 없다는 것이 된다. 즉 "무아"라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는 일생생활에서 "나"라는 말을 쓰고 있다. 나라는 것 때문에 나가 없다는 말도 있게 된다. 불교의 업사상에 의하면 선악의 업에 따라서 육도에 윤회하는데, 만약 나가 없다면 윤회의 주체가 무엇인가 또 조사 스님들은 "네가 바로 부처이다"라고 가르친다.

    일상적으로 부르는 나, 업의 주체로서의 나, 본래 부처로서의 나는 어떻게 다르며. 이 나들이 어떻게 무아의 가르침과 공존할 수 있느냐는 문제가 떠오른다. 무아를 바로 이해하려면 먼저 나의 실체가 기능을 나누어서 생각해야 한다. 연기의 원칙에서 나오는 무아는 나라고 하는 고정적 실체가 없다는 말이지, 현실에서 움직이는 나로서의 기능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가령 불은 고정적 실체가 없다. 연료가 없으면 불이 꺼진다. 연료를 공급하고 불을 붙이면 다시 불이 생긴다. 불이 타고 있을 때, 그 불에 고정적인 실체가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연료가 다 타고 나면 불은 꺼지기 때문이다. 또 불이 없다고 말할 수 없다. 만약 불에 독자적이고 고정적인 실체가 있으려면 항상 꺼지지 않아야 한다.

    연료가 없더라도 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불은 연료에 의존해 있다. 그러므로 불에 독자성은 없다. 음식을 만들고 방을 따뜻하게 하는 좋은 불과 재산과 산을 태우는 나쁜 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같은 불이 좋게 쓰이기도 하고 나쁘게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실체가 없다는 것, 즉 연료에 의존해 있다는 것이 불의 기능조차 없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독자성이 없더라도 얼마든지 불의 기능은 있을 수 있다. 성냥불이 초에 옮겨 붙어서 촛불이 될 수도 있고, 촛불이 옮겨져서 다른 불이 될 수도 있다. 불에 고정적인 독자성이 없으면서도 불의 기능은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 우리의 "나"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에게 나라고 하는 고정적인 실체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행동 즉 업은 연속성을 가진다. 악업은 나쁜 결과를 낳고 선업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 거지와 어울려서 살아온 사람은 거지처럼 행동을 하기가 쉽고, 귀인과 어울려서 살아온 사람은 귀인처럼 행동하기가 쉽다.

    나에게 고정적인 실체는 없지만, 행동을 하고 그 습관은 담아 두고 전달시키는 기능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독자적이고 고정적인 주체가 없이도 윤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아라면 윤회의 주체가 무엇이냐?"라는 물음에는 윤회하려면 반드시 어떤 고정적 주체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이 전제를 바로잡지 않고 바로 "나의 기능"을 말하면, 이것을 다시 고정적이고 실체적인 것으로 착각할 수가 있다. 그래서 우리는 "윤회의 주체가 없는 기능의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어떤 이는 이렇게 물을지도 모른다. "만약 고정적이고 실체적인 나가 없이 윤회한다면 선악의 업이나 나에 대해서 신경 쓸 필요가 없지 않은가?"하는 것이다. 윤회하는 것이 나가 아니라면 , 악업을 짓든지 선업을 짓든지, 또 지옥에 가든지 천상에 가든지 상관이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여기에서 진짜 나에 대해서 물을 필요가 생긴다. 모든 것이 의존 관계에 있어서 자성이 없고, 자성이 없어서 공하고, 공하므로 나가 없다면 이것을 뒤집어서 생각할 수가 있다. 세상에 있는 모든 것에 독자의 나가 없다는 것는 하나하나에 자기 의외의 다른 것들을 모두 것에 독자의 나가 없다는 것은 하나하나에 자기 의외의 다른 것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나에게는 세상의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고 결국 나는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보면, 나가 있다고 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우주 전체를 나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나가 잘못된 것이다. 진짜의 나는 개체가 아니라 우주 전체인 것이다. 세상의 모든 것이 하나도 빠짐없이 나라면, 나는 악업과 지옥에 대해서 걱정해야 한다. 악업을 쉬게 하고 지옥을 소멸해야 한다. 내가 개인적으로 지옥에 가는 것을 염려하는 것이 아니라, 나 속에 지옥이 남아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불교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개별의 나와,우주의 나, 거짓 나와 참 나. 작은 나와 큰 나라는 말을 쓴다. 작은 나는 개체로의 나를 가리키고 큰 나는 우주 전체로서의 나를 가리킨다. 조사 스님들이 부처라고 하는 "나"는 이 큰 나 또는 참 나를 뜻한다.


오늘 음력 9월 초이레 용왕법회

다소 쌀쌀한 날씨 속에서

코로나 19 재난 사회적 거리두기를 엄수하며 여법하게 마친 법회입니다.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773e1c64b6e5d4aa7490ba0f08fa8a8c_1634049459_5673.jpg 

773e1c64b6e5d4aa7490ba0f08fa8a8c_1634049642_2769.jpg
 

img.jpg


img.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오늘의 부처님 말씀

건강은 최상의 이익,
만족은 최상의 재산,
신뢰는 최상의 인연이다.

그러나 마음의 편안보다
더 행복한 것은 없다.
                                -법구경-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

나가없다는 무아를깨달아    닦을도를 닦았다  해탈 지견향  하에    생사의  번거러움에서    생사없는법을    일체법 공경  법 하여    의정법의  적멸이  주인이라    여시 공경자가    시즉 제불법 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잘지키고  잘 가르켜서  생사없는 해탈법    정법을 위하여  위하여 .., , ,번뇌가다할때  생이없는것이  해탈법이다  .  그곳 법당에훈기가  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ybr님의 댓글의 댓글

ybr 작성일

생기발랄하신 큰보살, 원만행 보살님!~

   
번뇌가 다할 때 생이 없는 것이 해탈법이다.

귀한 법문 감사 감사드립니다.

다시 또 자세히 보니 법당에 훈기가 오네요.ㅎㅎ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