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봉스님의 안면암 일기} <산불 재난 및 문화유산 복구 지원 긴급모금 : 제 17교구 금산사 본말사> 18. 열…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2건 조회 187회 작성일 25-05-22 07:56본문
18. 열반경의 선악과 인과(보살품 3) 1
부처님은 일천제의 불성을 인정해야 하는 문제와
일천제에게 믿음이 없는 문제를 아직 태어나지 않
은 소경의 예로 푼다. 태어난 장님들은 다 치료할
수 있다지만 뱃속의.......
선과 악 그리고 인과에 대한 <열반경>의 해석을 보자.
철학과 종교의 차이점은 논리와 실천이다. 철학이 인간은 왜 사는가 하는 문제를 고민한다면 종교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고민한다. 그러나 인도에는 이러한 철학과 종교의 대립이 없다. 인도에는 고대로부터 철학 없는 종교는 맹목이고, 실천 없는 철학은 관념이다라는 경구가 있어 왔다. 즉 무조건 믿으라는 맹목적 신앙이나 인생과 세상의 고민을 하나도 해결하지 못하는 관념적 말장난을 철저히 배격 했던 것이다.
실천하기 위해서는 무언가 행동 기준이 있어야 한다. 해서는 안 되는 나쁜 일과 해야 하는 좋은 일이 구별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세계와 인간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설명하지 못한다면 잘못된 것이고 거짓이다. 그래서 실천의 기준으로 선과 악의 개념이 나왔고 세계와 인간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인과의 개념이 등장했다.
- 죄송합니다만, 내일 또 이어 게시봉사하겠습니다.
<산불 재난 및 문화유산 복구 지원 긴급모금 :
제 17교구 금산사 본말사>
안면암 수호신장 우리들의 설봉스님(왼쪽에서 두 번째)
<불두화佛頭花 - 꽃말, 제행무상 諸行無常>
지금 안면암과 안면암 과천 포교당에서는
불두화佛頭花가 만발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전국 사찰에서도 곳곳마다 피어
사람들의 눈과 마음을 맑고 환하게 밝혀 주고 있습니다.
- 이전글{설봉스님의 안면암 일기} 18. 열반경의 선악과 인과(보살품 3) 2 25.05.23
- 다음글[설봉스님의 안면암 일기} <오월의 다짐/ 정연복> 107. 발심하지 못한 이가 발심하는 이유(보상품 2) 끝 25.05.21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오늘의 부처님 말씀]
“어느 누구나 폭력을 두려워한다.
모든 존재들에게 죽음은 두렵기 때문이다.
그들 속에서 너 자신을 인식하라.
괴롭히지도 말고 죽이지도 말라.”
<법구경>
<<불두화 꽃말 = 제행무상(諸行無常)>>
[약사암 불두화 / 강민숙]
하루에
지은 집은
하룻밤 사이에 무너지는
그 이치를
이미 알고 있었을까.
약사암 법당 앞에 턱하니
터를 잡아
일년을 앞에 놓고
집을 짓는 불두화를 바라본다.
가지 뻗어 잎을 내고
잎을 내어 꽃을 피운 불두화
송이마다 담아놓은
흰 쌀밥 어디서 다 구했을까
벌나비 넘볼까봐
향기는 감춰두고
부처님 공양 드세요
그 목소리 하늘까지 닿았을까
두둥실 뭉게구름
송이송이 떠 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윤병예 합장
원영님의 댓글
원영 작성일
설봉 스님
안면암 주지 스님
일감 스님 보다
더 멋지셔요
진우 총무원장 큰스님 다음으로요
축하드립니다
건강하셔요
박사 스님
정광월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