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의 안면암 일기] 90.여래성과 여래장(여래성품 1)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2건 조회 188회 작성일 25-02-17 16:42

본문



5ed9cf7e26fb859421fb524ba4b0ba40_1700725845_412.jpg



0720fa0f7f060784acaed3814a7c68d2_1700520412_5397.jpg

 


일곱째마당

번뇌의 인연과 본래불성

*여래의 비밀한 법장의 맛도 그와 같아서 모든 번뇌의
 숲속에 묻혀 있으므로 무명이 두터운 중생들이 맛좋은
 약을 보지 못하느니라. 부처 성품이 번뇌로 말미암아
 가지가지 맛을 내나니 소위 지옥·축생·아귀·천상·인간 · 
남자·여자·남자 아닌 이 · 여자 아닌 이·찰제리 
바라문·비사·수다라 따위가 되지마는, 부처 성품은 
웅장하고 용맹하여 깨뜨릴 수 없으므로 살해하지 
못하느니라."

(여래성품)

"그러므로 젖 가운데 결정코 타락이 있다고 말할 수 
없으며, 젖 가운데 결정코 타락이 없을진댄 젖 속에 
어찌하여 토끼의 뿔은 나지 않으며 젖 속에 독약을 
넣으면 타락이 사람을 죽게 하나니, 그러므로 젖 가운데 
결정코 타락이 없다고도 말할 수 없느니라. 만일 타락이
 다른 데서 난다면, 어찌하여 물에서는 타락이 생기지 
않느냐, 그러므로 타락이 다른 데서 난다고도 말할 수 
없느니라."

(여래성품)



90.여래성과 여래장(여래성품 1)  1

 

본각 즉 깨달은 바가 있으므로 그 본각을

알아보기만 하면 된다는 말은 이미 금광을

개발해서 제련해 놓은 금을 꺼내서 쓰기만

하면 된다는 말과 같다.

 

   다른 사람이 왜 사느냐고 묻는다면 태어났기 때문에 산다고 우선 답할 것이다. 이렇게 대답하는 것은 상대방의 질문에 대해서 응답을 하기는 해야 하겠는데 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뚜렷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임시적으로 삶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으로부터 모면하기 위해서이다. 태어났으니까 산다고 하는 말은 과거에 청담 스님께서도 자주 쓰던 말이지만 그 말로 상대의 질문에 대답했다고 해서 참으로 왜 사는지에 대한 의문이 풀린 것은 아니다.

내가 살아야 할 가치랄까 의미가 있기 때문에 태어났으리라는 것이다. 철이 들지 않았을 때는 삶의 가치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기의 삶에 대해서 물음을 가지게 되면 어렴풋이나마 살아야 할 가치가 있다는 것, 살다 보면 앞으로 좋은 수가 있지 않겠느냐는 믿음을 가지게 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계속 살기로 작정했거나 적어도 자살하기로 마 다. 설사 자신이 왜 사는가에 대해서 한번도 자문을 해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계속 살기로 작정했거나 적어도 자살하기로 마음을 먹지 않는 것은 아주 막연하나마 살다 보면 좋은 수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죄송합니다만, 내일 또 이어 게시봉사하겠습니다.

 



< 비로전>


d7dcab942ef2ae472fe9fea448feca06_1739777787_2508.jpg
 

d7dcab942ef2ae472fe9fea448feca06_1739777787_9308.jpg
 



비로전 2층 <선원禪院>


d7dcab942ef2ae472fe9fea448feca06_1739777787_7124.jpg
 


d7dcab942ef2ae472fe9fea448feca06_1739777787_4826.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오늘의 부처님 말씀]

“ 우리가 여기서 자제해야 한다. 라고

  다른 사람들은 자각하지 못하니 이러한 것을 자각하면,

  그 때문에 다툼이 그친다. ”

                                                            < 법구경 >

 

{ 겨울바람에 부치는 시 / 정연복 }

 
널 하릴없이 맞으며

온 몸으로 맞으면서도

 
아무 일 없는 듯

가만히 서 있는


맨 몸뚱이 겨울나무를 보니

느낌으로 알겠다


지상에 살아 있음은

고통 중의 일이라는 것


생명은 시련을 겪으면서

더 단단하고 깊어진다는 것

 
새봄은 그냥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라는 걸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윤병예 합장

정광월 합장님의 댓글

정광월 합장 작성일

오늘 오선주  무진성 교수님께서 영면 하셨다고
교수님
극락 왕생  발원  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정광월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