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 설봉 스님의 안면암 일기 } 77. 의법불의인(依法不依人)(사의품 6) 끝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2건 조회 171회 작성일 24-12-16 08:41

본문



5ed9cf7e26fb859421fb524ba4b0ba40_1700725845_412.jpg



0720fa0f7f060784acaed3814a7c68d2_1700520412_5397.jpg

 


77. 의법불의인(依法不依人)(사의품 6) 끝


   건설업자가 정부의 어떤 공사를 입찰에서 따낼 때에도 다른 업자의 입찰 가격과 경쟁하려면 터무니없이 낮은 공사비 액수를 써넣어야 하고 일단 공사를 따낸 후에는 손해를 덜 보거나 이익을 더 많이 얻기 위해서 설계보다 품질이 낮은 재료를 쓰거나 돈을 덜 들이는 편법으로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과거에 건설업계의 이러한 관행은 너와 나를 가릴 것이 없이 횡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은 낙오자가 될 뿐이었다. 성수대교가 끊어지고 아파트나 상가가 무너지고 일산의 아파트 기둥이 부서지는 것은 모두 이러한 관행 공사의 결과이다. 남들이 그렇게 하니까 나도 그렇게 한 결과라는 말이다. 의법불의인 즉 진리에 의지하고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지 말라는 말은 아무리 세상에서 잘못된 관행이 판친다고 하더라도 원칙에 의해서 살고 세상의 관행을 따르지 말라는 뜻이다.


   거리에 나가 보면 인간 도덕에 대해서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젊은 사람들이 함부로 행동한다고 한다. 어른들에게 담배나 담뱃불을 빌려 달라고 하는 것은 보통이거니와 젊은 사람들에게 나이를 따질라치면 두 들겨 맞기가 십상이라고 한다.

 

   아주 희한한 사건이 있었다. 한 남자 대학생이 거리에서 50대의 술 취한 어른과 맞부딪쳐서 시비를 가리다 그 어른을 두들겨 패주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애인에게 전화를 걸어 보니 애인의 아버지가 두들겨 맞고 파출소에 있다는 것이었다. 대학생이 파출소로 달려가 보니 자기가 두들겨 팬 사람이 바로 애인의 아버지였다. 참으로 기막힌 일이다. 의법불의인이라는 말은 아무리 다른 젊은이들이 나이 많은 어른에게 함부로 대하더라도 나만은 절대로 다른 사람들을 본받지 말고 인간 도리대로 살라는 뜻이다. 끝




36f5c35d73d659706cc566e9786fd07e_1734306491_6984.jpg

36f5c35d73d659706cc566e9786fd07e_1734306492_0336.jpg

36f5c35d73d659706cc566e9786fd07e_1734306492_5483.jpg

36f5c35d73d659706cc566e9786fd07e_1734306492_9008.jpg

36f5c35d73d659706cc566e9786fd07e_1734306493_7666.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 믿고 즐거워하는 마음내어 오욕락을 탐하지 않으면

  곧 신심의 힘을 성취할 것이니 이것을 견고한 믿음이라 한다. ”

                                                        < 광박엄경불퇴전륜경 >

 
선시(禪詩)


*** 석지현 스님의 선시집에서 ( 현암사)

< 회암사 >

옛 소나무 칡넝쿨 서로 얽혀 있는 곳

길은 깊이깊이 골짜기로 들어가네

불전에는 깜박이는 불빛만 있을 뿐

지난날의 선풍은 간 곳이 없네

드높은 누각은 구름 속에 갇혀 있고

쓸쓸한 정원에는 풀만 키로 자라네

풍광이야 천축국의 나란사 같지만

지혜의 등불 밝혀줄 스승이 없네.

 
< 檜巖寺 회암사 >

古松藤蔓暗相連 一徑深深入洞天 佛殿尙留三世火 法門今絕五宗禪

고송등만암상련 일경심심입동천 불전상류삼세화 법문금절오종선

崢嶸樓閣雲為鏁 牢落庭除草作氈 勝境宛如那爛寺 恨無人導祖燈傳

쟁영루각운위쇄 뇌락정제초작전 승경완여나란사 한무인도조등전

                      = 출전 매월당시사유록,

### 주

·삼세화(三世火): 삼세의 등불,

ㆍ오종선(五宗禪): 선의 다섯 갈래, 조동종, 임제종, 법안종, 위앙종, 운문종

·쟁영(崢嶸): 높은 모양.

ㆍ뇌락(牢落): 적적한 모양, 쓸쓸한 모양.

전(氈): 솜털로 짠 옷감.

-나란사(那爛寺): 날란다사, 인도 비하르주 라지기르에 있던 세계 최대의 불교 대학이자 수도원.

            해설

나옹(懶翁)의 선풍이 찬란했던 곳 회암사,
그러나 매월당 시대에 오 면 쓸쓸한 절이 되고 만다.
여기 이 시는 그런 폐허의 회암사를 옮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의 회암사(경기도 양주)는 어떤가.
석조물 몇 개 만 쓸쓸히 뒹구는 풀밭이다.

세월은 이토록 덧없나니, 해야 할 것은 오직 '자기를 찾는 공부'뿐이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윤병예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

불법  도  내자신이 목숨바쳐해야함은      반야용선타고내가가야함은  나옹  스님토굴가로  수행익어서  가면 루 루  라라갑니다  .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극락세계 수상합시다  .    견성  성불  .  최상승  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