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 설봉 스님의 안면암 일기 } 상사화 2와 토끼 보살님 가족, 63. 번뇌의 불은 꺼져도 법신의 등잔은 남아(사상품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3건 조회 165회 작성일 24-09-27 08:35

본문

불기佛期 2567년   2023.10.21 가을 속리산 법주사에서의 소중한 순간들 ㅡ 


불심佛心과 환희심歡喜心이 

한층 증장된 마음으로 

귀가하는 관광버스 안에서의 청정심 총무님 멘트입니다.


"개산대재 진행 중에 멀리서 오셨다는 어느 노보살님이 큰스님 친견하기를 애타게 기다리셨는데

몇 시간 후에도 큰스님을 뵙지 못했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법주사 스님께 말씀하시더군요.


우리들은 언제든지 가까이에서 큰스님을 항상 뵐 수 있으니 우리 큰스님의 크나크신 존재를 항상 잊는 것같습니다. "


버스 안의 허공회 회원들 (양심에 찔리는 듯??) 

그 누구도 입밖에 한마디 내뱉을 수 없는 침묵의 시간이 잠시 흘러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 





cf3720434767b14629d50f22e2b7779a_1698236984_3773.jpg

 

cf3720434767b14629d50f22e2b7779a_1698236984_6155.jpg 

cf3720434767b14629d50f22e2b7779a_1698236984_5078.jpg

 

개산대재 시작 직전

염화실에서 

허공장 회원들을 맞아 주시는 조실 큰스님!

(생전 처음 들어가본 염화실의 소박한 기품)

 

cf3720434767b14629d50f22e2b7779a_1698236984_0813.jpg 


조실 큰스님 뵈오러 

롱다리로 성큼성큼 달려가는 듯한 청정심 총무님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991_7861.jpg



665f55839fc2931b7505a948598ba8aa_1698272791_9936.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761_0023.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993_2927.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993_8506.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216_3168.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218_3582.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218_7431.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219_1054.jpg 


665f55839fc2931b7505a948598ba8aa_1698273330_6548.jpg
 


665f55839fc2931b7505a948598ba8aa_1698272790_8768.jpg
 

665f55839fc2931b7505a948598ba8aa_1698272791_0979.jpg
 

665f55839fc2931b7505a948598ba8aa_1698272791_3406.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761_704.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762_1455.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762_6914.jpg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213_5319.jpg 


9fbdad1bf0aba0e640ee6518c06f5d03_1698276602_8303.jpg
 



정2품 소나무 


bb0172b38a2700bce05dc29be04f2cea_1698234760_5361.jpg 




======================================


5ed9cf7e26fb859421fb524ba4b0ba40_1700725845_412.jpg



0720fa0f7f060784acaed3814a7c68d2_1700520412_5397.jpg



63. 번뇌의 불은 꺼져도 법신의 등잔은 남아(사상품 12)   3


   가섭 보살의 질문을 다른 각도에서 대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약1 개월 전에 중풍에 걸려서 고생하다가 죽은 일흔한 살 된 노모를 따라 자살한 스물네 살의 여자에 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어머니는 마흔일곱 살에 뜻하지 않게 아기를 가졌다. 여자 아이를 낳았는데 아내이기도 하고 또 뒤늦게 얻은 딸이기도 해서 딸을 아끼고 귀여워했다. 그런데 늘그막에 어머니가 중풍에 걸렸다. 딸은 가정 형편이 어려워서 고등학교만 졸업하고 직장에 다녔는데 어머니를 보살피기 위해서 직장을 그만두었다. 동네 사람들이 감동할 정도로 지극한 정성으로 어머니를 보살폈지만 어머니는 병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죽고 말았다.

딸은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시체 앞에서 농약을 먹고 자살했다. 딸은 평소에 어머니가 죽으면 따라 죽겠다고 말하곤 했다고 한다.

 

   어머니를 따라 죽는 딸의 사랑은 하늘에서 별똥이 떨어지듯이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어머니가 만든 것이다. 어머니가 지극한 마음으로 딸을 사랑했기 때문에 딸은 어머니를 지극히 사랑했다. 어머니와 딸 사이에는 아무런 간격이 없다. 어머니의 목숨이 딸의 목숨이고 딸의 목숨이 어머니의 목숨이다. 이 이야기를 듣고 감동을 받은 많은 사람의 마음이 그 딸을 따라 죽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처음에 딸을 낳고 사랑하고 죽음을 만들어 낸 어머니는 죽었지만 실은 죽지 않았다. 딸의 죽음에서 그리고 많은 사람의 죽음에서 어머니의 목숨이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어머니의 목숨이 이어지려면 쉬지 않고 계속 뒤따라 죽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마치 불이 살아 있으려면 쉬지 않고 계속 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불은 껐다가도 켜면 다시 살아난다. 살아 있다가도 끌 수가 있다. 항상 불이 타고 있는 것과 불이 존재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성냥을 가지고 있을 경우 불을 켜기만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죽음을 딸이 따르고 또 많은 사람들이 감동을 받았을 경우 그 이야기를 몇천만 년 후에 새로 태어날 사람에게 들려주더라도 새로운 감동을 만들어 낼 것이다. 언제든지 불을 붙일 수 있는 성냥과 같다.

_ 죄송합니다만, 내일 또 이어 게시봉사하겠습니다.




오늘은 상사화 여러 송이가 

선남자 선여인들께

인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계속 

사랑을 먹고 자라면 

몇 년 후에는 제법

군락을 이루어 

안면암의 명소가 될 터이므로 가슴이 무척 설렙니다.



몇 년 전부터

안면암의 마스코트가 되어 

어린이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토끼 보살님들 가족입니다.


수컷 1마리 암컷 2마리,

새끼는 검둥이 4마리 알록이 1마리가

사이좋게 맛있는 먹이들을 먹고 있는 평화로운 시간들입니다.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46_3438.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46_7962.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47_2227.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47_7189.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48_4707.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75_7646.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76_6577.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77_172.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77_7186.jpg
 

ca2f9344c9b1d317ab2cc720f90bc4e6_1727392976_1711.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 성인은 양극단에 의지하지 않으며

  여러 생존에 대해서,또한 이 세상이나 저 세상에서 원하는 바가 없다.

  모든 사물에 대해 단정하는 편견이 그에게는 도무지 없다.
                                                                        < 숫타니파타 >

 


[ 선시(禪詩) ]


<본래 한 물건도 없나니>

함허(涵虛) 득통(得通) 스님 (1376 ~ 1433)


맑고 고요하여 본래 한 물건도 없나니

신령스런 불꽃만이 온 누리를 비추고 있네

몸과 마음이여, 다시는 생사에 얽매이지 마라

가고 오고, 오고 감에 걸릴 게 없네


담연공적본무일물 湛然空寂本無一物

영광혁혁통철십방 靈光赫赫洞澈十方

경무신심수피생사 更無身心受彼生死

거래왕복야무가애 去來往復也無가?碍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정광월 합장님의 댓글

정광월 합장 작성일

어제 동국대에서

선  명상 콘서트
마지막 동불108  합창단
보리수 나무 아래
아침서곡  가사
윤총장님의 서정주시 
추천사 해설.
학생  댄스 동아리 춤
올해 처음 시도
기분 좋은 콘서트였습니다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참 좋은 도반, 정광월 보살님!

저는 BTN 뉴스 보는 걸로 거의  만족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우리 함께 참석했으면 좋겠습니다.

소중한 댓글 항상 늘 감사드립니다.

                                          해탈심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