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최차열 사진작가님의 드론 사진 - 경내를 장엄하는 환희심 충만한 현장사진들, 『 큰 죽음의 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5건 조회 221회 작성일 24-05-29 06:50

본문



5ed9cf7e26fb859421fb524ba4b0ba40_1700725845_412.jpg



0720fa0f7f060784acaed3814a7c68d2_1700520412_5397.jpg

           

                                                                        

39. 성문에게 불법 부촉 못해(장수품 1) 끝

 

   요즘에는 어린이나 청소년을 위한 불교 서적도 많이 나와 있다. 어려운 교리를 전달하려고 애쓸 필요도 없다. 사성제나 인연법을 알려줄 수 있으면 좋고 몰라도 상관없다. 절집에 널리 알려진 고승들의 공부 일화나 영험담 몇 개만을 이야기해 줘도 된다.

 

   비구들이 소승과 대승을 구별하고 소승에게 불교 전법을 부탁하는 것은 120세 먹은 노인에게 황금을 맡겨 두는 것과 같다고 하지만, 소승 비구를 그렇게 보는 이유는 그들이 불교를 전하는 데 소극적이기 때문이었다. 만약 소승 비구들에게 불교를 펴라고 부탁하면 늙은 노인이 황금을 버리고 죽어 버린 것과 같이 될 것이라는 걱정이다. 그래서 대승 보살에게 불법 전수를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열반경》에서는 자신의 도를 전해 주는데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이야기가 있다. 중국 하나라 때에 예라는 사람은 활을 잘 쏘는 명궁이었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궁술을 배우기 위해서 몰려들었다. 그중에서 봉몽이라는 사람의 재주가 특출한 것을 보고 스승은 그에게 비법을 전해서 명궁을 만들었다. 그런데 제자인 봉몽이 궁술을 다 배우고 나서 활쏘기에서 자신이 제1인자가 되어야겠는데 스승이 마음에 걸렸다. 활을 잘 쏘기는 하지만 스승을 능가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자인 봉몽은 스승을 죽여 버렸다. 이 말을 들은 맹자는 스승인 예에게도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제자들이 깜짝 놀라서 이유를 묻자 맹자가 설명해 주었다. 스승이 죽은 것은 사람을 잘못 선택해 비법을 전수해 주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재능을 기르는 것은 좋으나 그 재능이 바르게 쓰여질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 보았어야 한다는 말이다.

 

   《열반경》에서는 소승 비구와 대승 보살의 차이는 궁술을 배운 다음 스승을 해치는 사람의 예와 같이 좋고 나쁨이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오직 어느 쪽이 부처님의 진의를 바르게 그리고 열심히 전하느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맹자의 평 즉 제자가 배운 것을 바른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스승이 미리 생각해 봐야 한다는 원칙만은 분명히 해두어야 할 부분이다.

 

   《열반경》에서는 소승 비구와 대승 보살을 구별하는 것은 옛날 《열반경》이 설해질 때의 이야기이다. 북방불교에서는 태국 미얀마 스리랑카 등의 남방불교를 소승불교라고 부르기는 하지만 이것은 남방불교가 불교를 전하지 않고 북방불교만 불교를 전한다는 뜻이 아니다. 단지 아무리 불교를 열심히 전하더라도 내용에서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간에는 차이가 있다. 남방불교에서는 여기 《열반경》에서 말하는 불신상주 · 실유불성 · 천제불성 같은 이야기를 알지도 못하고 인정하지도 않는다. 끝




★★★★★★★★★★ 


최차열 사진작가님의 

안면암 초유의 경이로운 현장 사진입니다. 


5월 26일 불광(佛光)에서 <창립기념 50주년 법회>로 선덕 혜담 큰스님의 인도로 선남선녀 1000여 분께서 안면암을 참배하셨습니다. 



최차열 사진작가님, 설봉 스님, , 사무실의 밀운행 보살님, 무상화 보살님등 봉사자 여러분들,

 

혜담 큰스님,

신도회장 박홍우씨( 전 대전 고등법원장)과 간부님들 신도님들, 질서정연한 주차관리를 위해 수고하신 여러 기사님과 주차관리요원님들께 멀리서 감사드립니다.

먼길 오가며 고생한 대형버스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480_063.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480_1911.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480_3117.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480_4497.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480_576.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569_8375.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570_0083.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570_1613.jpg
9ad7c3a23d3fad4ae8df654e30e0bbb0_1716932570_3321.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 현명한 수행자는 인욕을 제일로 알아 마땅히 맑은 물과 같이 행동해야 한다.
  물은 그 어떤 더러움도 깨끗이 씻어 내면서도 그 본질은 더럽혀지지 않는다. ”

                                                                                < 견의경 >

[  5월  ]    /      서윤덕

꽃보다 더 아름다운 초록잎새

사방에 초록이 춤춘다

우리들의 삶도 초록이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

오늘의부처님말씀  ?!  버뇌가 인욕이  육바라밀의수행이  그야말로  부처님만이 할수있는수행!    아라한 조사스님께서는  99,9라 하겠지요?  어떤날은  그래도60,은  되나하고  .여불로 이어가는  나는  두다리뻗으며  다시  눈을 감고  참회하며  두손모으며  염불과호흡  이뭣고의  흉내내는나는  참으로  업보중생을  어떠게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작가님의  훌륭하신    생활에두손모읍니다  .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생기발랄하신 큰보살, 원만행 보살님!

햔결같으신 소중한 댓글 항상 감사드립니다.

                                                                해탈심 합장

석원영 합장님의 댓글

석원영 합장 작성일

지금 불광사 주지스님
동명스님.시인
전 포교원장 지홍스님 상좌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참 좋은 도반, 석원영 보살님!

변함없이 계속되는 소중한 댓글 항상 감사드립니다.

                                                            해탈심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