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의 안면암 일기} 허허 지명 대종사님 『그것만 내려 놓으라』법문집에서 「 흔들리는 마음 」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2건 조회 145회 작성일 25-08-11 08:00

본문

   

   

ff225c87ef4189cf73dc42cc51ebd895_1754086450_5699.jpg 

 


  

흔들리는 마음 」


   나는 지금까지 어떤 경우에서든지 화내지 않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대부분의 경우, 오래 접해보면 한번쯤은 가볍게라도 흔들리는 마음을 들키는 듯 했다. 물론 어느 정도까지 속이 뒤집히고, 언성이 높아지고, 얼굴 색깔이 변하고 일그러진 상태를 화내는 것으로 규정해야 할지, 일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내가 접한 사람이 모두 화내는 이들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한 스님으로부터 “20년 이상을 같이 살거나 교류했지만, 종범 스님이 화내는 것을 본 적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 자리를 같이한 다른 분들도 동의했다. 나는 ‘절대로 화내지 않는 스님’이 보고 싶어졌다. 그러던 중, 한 신도의 49재에서 화내지 않는 스님을 만나게 되었다. 다짜고짜 물었다.

 

    “스님은 정말로 화내는 일이 없습니까?”

그 스님은 “수행자가 화를 낸다면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까?"

반문했다. 언제부터 화를 내지 않게 되었느냐고 다시 물었다.

종범스님이 선방에서 공부하던 젊은 시절에, 경북 감포에서 버스를 타게 되었다. 당시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에서 버스가 갑자기 급커브를 틀며 정지하게 됐다. 그러자 버스 선반에 올려놓았던 젖은 생선들이 아래로 떨어져 사람들의 머리, 얼굴, 옷을 더럽히게 됐다. 많은 이들이 화를 내면서, 그 생선의 주인을 찾았다. 그러한 와중에 한 40대의 신사가 이무 말도 하지 않고, 손수건을 꺼내어 머리와 얼굴을 닦고, 옷을 대충 털고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버스의 창밖만 바라봤다. 종범 스님은 그 신사를 아주 멋있는 사람으로 생각하고, 마음 속으로 굳게 다짐했다. “나는 어떤 일이 있어도 화내는 모습을 보이지 않겠다”고.

 

   종범스님에게 다시 물었다.

“겉으로는 화를 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마음속으로까지 화나는 일이 없습니까?”

그 대답,

“왜 없겠어요. 경계를 만날 때마다 마음이 흔들리지만, 금생에는 형상으로나마 분노를 발산하는 흉한 몰골을 보이지 않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한결같은 평상심을 지키려면 세세생생 닦아야겠지요.”

 

   우리에게는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즉 “평상심을 놓치지 않는 것이 바로 참다운 삶의 길이다”란는 화두가 있다. 화를 내고 싶어도 아무도 받아줄 사람이 없던 예전에는 , 저 화두를 따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확실하게 깨닫지 못했다. 내가 수행이 잘 되어서가 아니라, 상황에 의해서 화를 내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주변에서는 내가 마음씨 고운 사람으로만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어느새 내가 남 앞에서 길을 안내해야 하는 자리에 이르렀다. 원한다면 화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나의 어리광과 같은 큰소리를 받아 줄 사람도 몇 명쯤은 되리라고 혼자서 김칫국을 마시게 되었다. 가끔 호통을 치면서 화를 내기도 했다. 그런데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나의 절친하고, 나를 좋하하고, 나를 밀어주던 사람들이 하나 둘씩 나에게서 멀어졌다. 나는 외롭게 되었다.

 

   절에서 자기를 내세우지 않고 열심히 봉사하는 한 신도가 있다. 부엌일, 농사일 ,도량청소, 신도들의 애경사 방문 등의 일에 몸을 사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그 신도와 친하게 지내는 이들이 많지 않다. 나는 유심히 관찰했다. 그가 편안한 마음으로 일하는 것 같지 않았다. “나만 힘든 일을 하는데, 다른 이들이 알아주지도 않고, 도와주지도 않는다”고 생각할 때가 있고, 그럴 때면 화산이 폭발하듯이 주변에 불친절하게 대하는 것이다. 외형적으로 아주 착실하게 봉사하며 수행하는데도 불구하고, 평상심을 지키지 못하고 가끔 불편한 내심을 드러내기 때문에, 그도 외톨이가 된 것이다.

 

   본래가“무(無)”라는 것을 생각하며 마음을 비우고 현실에 만족하면 참 좋다. 평상심을 가지면 참 좋다. 그러나 보통 사람으로서 불평불만이 전혀 없기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렇다면 그것이 화가 되어 폭발하지 않게라도 해야 한다. 화는 전염병이나 불길과 같다. 이쪽에서 일어나면 저쪽에서도 따라 일어난다. 당하는 이에게는 큰 상처를 준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지금까지 누차 실패했더라도, “화내지 않는 수행”을 계속해야 한다. 끝




3d22fc446bb4474b60ea62dd6cbcfed6_1754866200_9781.jpg


3d22fc446bb4474b60ea62dd6cbcfed6_1754866199_4237.jpg

3d22fc446bb4474b60ea62dd6cbcfed6_1754866199_6585.jpg

3d22fc446bb4474b60ea62dd6cbcfed6_1754866201_1494.jpg

3d22fc446bb4474b60ea62dd6cbcfed6_1754866201_3282.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오늘의 부처님 말씀]

“ 사람은 항상

눈 때문에 속고

귀 때문에 속고

코 때문에 속고

입 때문에 속고

몸 때문에 속는다.

그러므로 눈, 귀, 코, 입 등의 욕망을 억제하고 갖가지 욕망에 뛰어들지 않도록 하라.
                                                                                          < 불교유경 >

 

[ 갈대 / 신경림 ]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른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그는 몰랐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윤병예 합장

원영님의 댓글

원영 작성일

이름없는  여인  되어

                            노천명

  어느  조그만  산골로  들어가
  나는  이름없는  여인이  되고  싶소
  초가지붕에  박넝쿨  올리고
  삼밭엔  오이랑  호박을  놓고
  들장미로  울타리를  엮어
  마당엔  하늘을  욕심껏  들여놓고
  밤이면  실컷  별을  안고

  부엉이가  우는  밤도  내사  외롭지  않겠소
  기차가  지나가버리는  마을
  놋양푼의  수수엿을  녹여  먹으며
  내  좋은  사람과  밤이  늦도록
  여우  나는  산골  얘기를  하면
  삽살개는  달을  짖고
  나는 여왕보다  더 행복하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