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의 안면암 일기 : <『우리가 행복해지려면』설악무산 대종사님 에세이에서 >, [ 큰 죽음의 법신法身 ] …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3건 조회 192회 작성일 24-02-14 06:21

본문

  


5ed9cf7e26fb859421fb524ba4b0ba40_1700725845_412.jpg



0720fa0f7f060784acaed3814a7c68d2_1700520412_5397.jpg


  

19. 대승 보호와 비법 타파 (서품 4) (1)


불교를 비방하는 상대의 혀를 육체적으로 자르는

것이 아니라 나의 신심과 지혜로 상대를 완전히

제압해서 상대가 더 이상 불교를 비방할 수 없게

만들어 놓는 것이다.

 

   우바이 즉 속가 여신도들이 대승을 보호하고 또한 파계하거나 대승법을 해치는 이들을 쳐부수겠다고 다짐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자.

 

부처님이 열반에 드는 법석에 참석하는 이들 가운데는 계행과 대승법을 두호하는 데 관심이 많은 우바이가 있었다. 이들은 스스로 다짐하기를 만약 대승법을 비방하는 이가 있으면 그의 혀를 끊을 것이라고 한다. 또 출가자가 지켜야 할 계율을 어기고 행동하면 그를 환속(還俗)시킬 것이라고 말한다.

 

   학자들은 ‘혀를 끊는다’든지 ‘환속시키겠다’든지 하는 표현이, 이 《열반경》의 성립시대 상황을 반영해 주는 것이라고 추측한다. 《열반경》이 결집될 시기에는 대승을 비방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또 출가자들이 계행을 파하는 경우가 있어서 과감하게 대처하지 않고는 대승법을 지킬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었으리라는 짐작이다.

 

  

    ‘원컨대 이제 우리들은 언제나 이 법을 배울 따름, 만일 부처님의 바른 법을 훼방하는 이가 있다면 반드시 그 혀를 끊어 버리리라.’하였다. 그리고 또 원을 세우되 ‘만일 출가한 사람으로서 계행을 깨뜨리는 이가 있으면 우리들은 반드시 그를 파하여 환속시킬 것이요, 혹시 능력이 있어 바른 법을 좋아하여 두호하는 이면 우리들은 반드시 그를 부모와 같이 공경하여 섬길 것이요, 또 만일 스님네로서 능히 바른 법을 잘 닦는 이가 있다면 우리는 반드시 따라서 기뻐하며 세력을 얻게 할 것이요, 또 항상 대승경전을 듣기를 좋아하고 듣고 나서는 다른 이를 위하여 연설하리라.’ 하여 모두들 이런 공덕을 성취하였다.

 

   대승을 수호하되 만일 대승을 질투하는 외도가 있으면 마치 우박이 초목를 부러뜨리듯이 꺾어 버리고, 계행을 보호하여 지니며 위의를 갖추어 온갖 세간 사람들이 잘 따라 제도되지 못한 이를 제도하고 이해하지 못한 이를 이해케 하며, 오는 세상에서 법수레를 운전하여 삼보의 씨를 이어 끊어지지 않게 하며, 대승을 배우고 큰 장엄으로 자신을 장엄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공덕을 성취하였으며, 중생들을 평등하게 사랑하기를 외아들처럼 하는 이들이었다.

 

           - 죄송합니다만, 내일 또 이어 게시봉사하겠습니다.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60881_4302.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60882_6973.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60883_6487.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5_1776.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5_4254.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5_7347.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6_0269.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6_4797.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6_7448.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6_9518.jpg

b1302a942aa0eb32c022860907091769_1707859137_3144.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 정진하는 마음이 석가모니 부처님이요, 곧은 마음이 아미타불이요, 밝은 마음이 문수보살이요, 원만한 행동이 보현보살이요, 자비의 마음이 관세음보살이요, 희사(喜捨)의 마음이 대세지보살이니라. ”

                                                                                                  < 청허당집 >

<『우리가 행복해지려면』설악무산 대종사님 에세이에서 >,    무소유란 무엇인가

부정에서 긍정으로

욕망을 욕망인 채 내버려 두면 아주 고약하고 몹쓸 것이 되기 쉽습니다. 정치를 해도 부정을 저지르기 쉽고, 경제를 해도 사기를 치기 쉽습니다. 문학을 하면 표절을 하게 되고 스포츠를 하면 규직을 지키지 않게 됩니다. 그런 욕심을 걸러 내기 위해서는 욕망이 얼마나 허망한 것이고 더러울 수 있는지를 알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것을 부정하고 배제해야 합니다. 그래야 참으로 훌륭한 무엇이 됩니다. 위대한 시나 위대한 정치나 위대한 경제는 여기서 만들어집니다. 이것을 종교적으로 말하면 사랑이고 자비일 것입니다. 전면부정을 통해 전면긍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불교가 욕망의 문제를 집요하게 말하는 뜻도 그 자체를 부정하기보다는 부정을 통해 더 큰 긍정을 이뤄 내기 위한 것으로 보면 됩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

오늘의부처님말씀에합장하여귀의합니다  .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정초신중기도  회햐메    깊이  감사올리며  불  법  승  삼보님께  절올립니다  기쁨의  회향  .입니다  .

정광월 합장님의 댓글

정광월 합장 작성일

법구경
세상을  떠날때  가져갈 수 있는
두가지  행行은
선행善行과  수행修行이다
선행은 복으로
수행은 열반으로 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