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인간의 완성} 85 기승론의 대승 (3) 2022년 9월18일 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1건 조회 206회 작성일 22-09-18 07:39

본문


    



img.jpg

    85

기신론의 대승  (3)

(대승기신론 1)

일심(一心)에 이문(二門)이 있다고 하는 것은

우리 마음에 깨달음의 이상세계와 윤회의 타락세계로 

갈 가능성이 똑같이 있음을 뜻한다.



    그래서 한 마음이 진여의 세계로 갈 가능성을 나타낼 때는 여래장(如來藏)이라고 불러지고 깨달음의 세계가 펼쳐지는 이유를 설명할 때는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고 불러진다.  이 중생심(衆生心)이 여래장도 되고 아뢰야식도 된다. 진여의 세계로 가서는 별로 할 말이 없다. 진정한 진여는 언어를 떠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신론》의 주안점은 진여문의 설명이 아니라 생멸문의 설명에 주력하고 있다. 왜 생멸이 벌어지느냐는 것과 어떻게 생멸에서 진여로 되돌아가느냐를 설명한다.

      예로부터 《기신론》의 주된 내용을 번호로 정리해 왔다. 즉, 일심(一心)   이문(二門)   삼대(三大)   사신(四身)   오행(五行)   육자염불(六字念佛)이다. 일심에 진여문과 생멸문이 있는데 그 일심의 특징은 삼대로 표시된다. 삼대는 어떤 사물의 몸체와 외상과 활용이다.

     줄여서 체(體)  상(相)  용 (用) 삼대라고 한다. 이 체상용 삼대는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의 세 가지 부처님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우리 마음의 몸체와 겉모양은 부처님의 법신자리와 같고 마음의 활동기능은 부처님의 보신자리  화신자리와 같다.

     일심의 상태에서 진여문의 방향으로 가고 일심의 특징을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서는 네 가지의 기본적인 믿음이 필요하다. 진여의 마음자리와 불(佛)  법(法)   승(僧)  삼보에 대한 믿음이다. 진여와 불법승 삼보는 우리가 현실 생활 속에서 만나는 외적인 삼보이기도 하지만, 마음속에 본래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진여자리, 깨달음의 지혜(智慧)  진리(眞理) 그리고 진리를 깨닫기 위해서 수행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음에 아무리 진여의 문과 깨달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이루는 데 필요한 수행이 없다면 깨달음은 얻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수행이 필요하다. 이 수행이 오행인데 육바라밀을 뜻한다.  보시 · 지계 · 인욕 · 정진 · 선정 · 지혜의 육바라밀 중에서 지혜를 지관으로 묶어서 다섯 가지로 줄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육자염불은 나무아미타물을 외우는 염불이다. 나무아미타불이 6자이기 때문에 육자염불이라고 했지만 이것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염불의 예를 들은 것이고 참선이나 다른 수행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6자라는 숫자를 맞추기 위해서 꼭 여섯 자를 이루는 염불만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ㅡ   죄송합니다만, 내일 또 이어 게시봉사하겠습니다.



< 나한전 >

개금불사하신 석가모니불과 

16나한님들 중 세 분의 나한님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5edfdf976fb85d198bdb3d7f8ab033bd_1663457840_8594.jpe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세상에는 섬기고 공경할 만한 일곱 종류의 사람이 있다.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 연민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

남을 기쁘게 하는 사람, 남을 보호하고 감싸는 사람,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비운 사람, 부질없는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 바라는 것이 없는 사람이다."

                                                                                                                                <  증일아함경  >



<  첫마음의 길  >  /    박노해



첫마음의 길을 따라

한결같이 걸어온 겨울 정오

돌아보니 고비마다 굽은 길이네


한결같은 마음은 없어라


시공을 초월한 곧은 마음은 없어라

시공과 공간 속에서 늘 달라져온

새로와진 첫 마음이 있을 뿐


변화하는 세상을 거슬러 오르며

상처마다 꽃이 피고 눈물마다 별이 뜨는

굽이굽이 한결같은 첫마음이 있을 뿐.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