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인간의 완성} 85 기승론의 대승 (4) 2022년 9월19일 月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2건 조회 205회 작성일 22-09-19 07:18

본문

 



img.jpg

    85

기신론의 대승  (4)

(대승기신론 1)

일심(一心)에 이문(二門)이 있다고 하는 것은

우리 마음에 깨달음의 이상세계와 윤회의 타락세계로 

갈 가능성이 똑같이 있음을 뜻한다.


      《기신론》의 특징은 언어를 경제적으로 절약하면서도 불교의 교리를 골고루 균형 있게 가르친다는 것이다. 《기신론》의 줄거리를 잡는다는 것은 불교교리의 줄거리를 잡는 것과 같다. 《기신론》의 줄거리는 일심 · 이문 · 삼대 · 사신 · 오행 · 육자염불이다. 이것만 완전히 파악하고 있어도 자신의 머릿속에 불교를 정리하고 다른 이에게 불교를 설명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불교는 마음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 마음은 큰 수레와 같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 중생심, 이 일심에 두 가지 의문이 있다. 진리로 가는 문과 생멸의 윤회로 가는 문이다. 또 이 마음에 체상용의 특징이 있는데 법신 · 보신 · 화신의 능력과 같다. 생멸문에서 진여문으로 돌아가고 체상용 삼대의 본래 특징을 찾기 위해서는 마음자리의 진여 및 불법승 삼보에 대한 믿음과 오행과 육자염불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불교를 정리하면 아주 간단하지 않은가. 하나하나 설명하기 어려우면 그저 일심 · 이문 · 삼대 · 사신 · 오행 · 육자염불을 외워주기만 해도 된다. 지금 이해할 수 있으면 좋거니와 못하더라도 이 말은 반드시 씨앗이 되어 마음속에서 의문의 싹을 낼 것이다. 의심이 있게 되면 그것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할 것이나 불법의 인연을 맺는 것이 된다.



img.jpg


img.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항상 자신의 죄를 알아야 하고

다시는 타인의 허물을 보지 말라.

짓지 않으면 이루어진 것이 아니니

그가 짓고 내가 받는 것이 아니다."

                                                        <  방광대장엄경  >



<  마음이 담긴 길을 걸어라  >  /    돈  후앙


마음이 담긴 길을 걸어라.

모든 길은 단지 수 많은 길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그대가 걷고 있는 그 길이

단지 하나의 길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언제나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그대가 걷고 있는 그 길을

자세히 살펴보라.

필요하다면 몇 번이고 살펴보아야 한다.

만약 그 길에 그대의 마음이 담겨 있다면

그 길은 좋은 길이고,

만일 그 길에

그대의 마음이 담겨 있지 않다면

그대는 기꺼이 그 길을 떠나야 하리라.

마음이 담겨 있지 않은 길을 버리는 것은

그대 자신에게나 타인에게나

결코 무례한 일이 아니니까.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

불어도 꺼지지  않는등불을  어찌  천성이  알겠느냐  ?  !  공가 중가    문수지혜  보현행  염불기도  선행  봉사를    마음에개입시킨다  .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