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봉스님 [안면암 일기] : {인간의 완성} 80 업의 연기와 업 종자의 저장 (1) 2022년 8월 28일 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3건 조회 231회 작성일 22-08-28 14:00본문
80
업의 연기와 업종자의 저장 (1)
(해심밀경 5)
유식학은 일종의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과 같다.
근대의 심리학이 일어나기 수천 년 전에 이미 불교에서는
마음에 대해서 깊이 파고 들었다.
삼성 가운데 변계소집성은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분별하는 인식이 되기도 하고 또는 연기를 하는 종자의 알음알이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의타기성은 바로 인연법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것이 있음으로써 저것이 있다.'는 식의 연기법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해석된다. 연기방식이 다르다고 해서 우주 진행방식이 여러 가지로 달라진다는 말이 아니라 동일한 우주의 연기 법칙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해심밀경》에서의 연기법은 유식을 기본으로 한 것이다.
유식을 중심으로 한 연기법은 어떤 종류의 것일까 궁금하다. 업을 중심으로 연기를 설명하는 방식과는 다를 것이다. 그래서 각종의 연기론 가운데 업에 의한 연기론과 식의 종자에 의한 연기론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불교에서 연기방식은 한량없이 많다. 부처님의 연기법을 새롭게 해석하는 것 자체가 새로운 각도에서 연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징이 두드러진 유명한 연기론으로는 대개 다섯 가지를 꼽는다. 업감연기론 · 아뢰야연기론 · 진여연기론 · 법계연기론 · 육대연기론이다.
업에 의한 연기, 아뢰야식에 의한 연기, 진여의 마음에 의한 연기, 여래법성에 의한 연기, 지(地) · 수(水) · 화(火) · 풍(風) · 공(空) · 식(識)의 육대(六大)에 의한 연기론 등이다. 다섯 가지 유명한 연기론이 있지만 업감연기론과 아뢰야연기론을 알게 되면 다른 연기론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업감연기론에서는 업이 윤회를 만드는 주원인이 된다. 업감연기론은 아비달마불교 중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서 주로 주창하는 연기론 체계이다. 업은 행위 또는 습관을 뜻한다. 범어로는 카르마(karman)라고 한다. 우리의 행위에 습관이 붙으면 어떤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반복이 바로 윤회가 된다.
업을 짓는 기관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몸과 입과 뜻이다. 보통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이라고 한다. 또 선악에 따라서 세 가지가 된다. 즉 선과 악 그리고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무기(無記)이다. 업을 지으면 과보를 받아야 하는데 그 과보의 시기도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즉 금생에 짓고 금생에 받는 것, 금생에 짓고 다음 생에 받는 것 그리고 금생에 짓고 언젠가 받는 것 등이다.
업감연기론은 혹업고(惑業苦) 삼도가 나타내듯이 미혹이 있음으로써 업을 짓고 업을 지음으로써 고통의 과보를 받는 순서로 진행된다. 업에 의해서 윤회한다고 하는 것이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연기론이다. 발전된 연기론이라고 하더라도 모두 중생의 업을 인정해야 하므로 이 업에 의한 연기를 전제로 하고 그 위에 독특한 연기체계를 세우는 것이다.
ㅡ 죄송합니다만, 내일 또 이어 게시봉사하겠습니다.
< 쪽빛 하늘 >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부처님은 일체중생의 마음과 행과 욕망이
한량없는 차별을 보임에 따라
그 갖가지 차별에 알맞은 여러 가지 음성으로 법륜을 굴린다."
< 화엄경 >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그 삶에 변화가 없다면
그의 인생은 이미 녹슬어 있는 것과 다름없다.
녹은 어디에서 생기는가. 물론 쇠에서 생긴다.
쇠에서 생긴 녹이 쇠 자체를 못 쓰게 한다."
< 법정 스님 >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불사선 불사악 ? ! 이뭐고. ! 한생각만 내면 지옥이니라 ?. 어디서 들을고 이런말을 . 구속 됨이 원 래 나의 뜻이 아니니라 . 인연따라 나의 집이 없다 . 육신을 귀하게매달리지마라 . 나의 몸은 본래 없는것 마음또 그렇게없다 . 이욱신을 아무생각없이 모셔드려야겠다 .때뭍은 잠족한 마음 연꽃을 비추어보아 문수 보살의 수기 밭고 컹컹 짖는개 꼬끼오 우는닭도 설법을 잘하네 $ 큰스님뜻에어긋나지않는 생활이 부처님을 잘 섬기는 것이다 .죽어도 죽지않는다 이것이 공부다 주인공아 이 뭣고? 삼세동자 다알지만 80노인 행하기 어렵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생기발랄하신 큰보살, 원만행 보살님!
답글이 늦어 죄송합니다.
그렇습니다. 큰스님 뜻에 어긋나지 않는 생활이 부처님을 잘 섬기는 것입니다.
삼세동자 다 알지만 팔십 노인 행하기 어려운 것이 불법의 가르침이지요.
소중한 댓글 감사 감사드립니다.
해탈심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