ȸ

설봉스님 { 안면암 일기 } : < 107 화엄종의 경전 분류 ㅡ 현수 5교판 > 20…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탈심게시봉사 댓글 5건 조회 1,084회 작성일 22-02-06 04:22

본문


{ 법구경 }

378

몸도 고요하고, 말도 고요하고

마음도 고요하고 그윽함을 지켜

이미 세상일 버린 비구는

'고요하고 고요한 사람'이라 불린다.


부를 획득함으로 말미암아,

그들은 얼마나 빈핍(貧乏)하여지는가!



img.jpg

< 107   화엄종의 경전 분류  ㅡ  현수 5교판  >

앞의 두 장에 걸쳐 우리는 천태종의 불경 분류를 설해진 시기, 형식, 그리고 내용에 따라 살펴보았다. 천태종이 「법화경」을 최고 불경으로 친다면 화엄종은 「화엄경」을 최고 불경으로 친다.

     천태종은 분류 체계에서 「법화경」을 중심 자리에 놓으려고 하고, 당연히 화엄종도  「화엄경」을 최고 중심의 자리에 놓으려고 한다.

    천태종이 존재의 실상을 밝히는 실상론實相論 계통이라면, 화엄종은 존재가 어떻게 생겨나는가를 설명하는 연기론緣起論 계통이다. 천태종이 공空과 성구性具로 맥을 잇는다면 화엄종은 유식唯識, 여래장如來藏, 성기性起로 맥을 잇는다. 그래서 천태종과 화엄종은 서로 대립하고 보완하면서 쌍벽을 이룬다. 천태종의 불경 분류에 대한 화엄종의 대응이 흥미롭다.

    화엄종의 현수賢首法藏대사는 불경 또는 불교 전체를 5교10종五敎十宗으로 나눈다. 불경에 나타나는 가르침의 얕고 깊음과 느리고 빠름 그리고 원만하고 완전함의 정도에 따라서 다섯 부류로 가르고, 다시 그 불경에 나타나는 교리를 10종으로 분류한 것이다.

     5교란 첫째 '소승교小乘敎' 즉 '소승을 위한 가르침' , 둘째 '대승시교大乘始敎' 즉 '대승보살을 위한 기초적인 가르침', 셋째 '대승종교大乘終敎' 즉 '대승의 궁극적인 가르침', 넷째 '돈교頓敎' 즉 '단번에 불법 전체를 깨닫게 하는 가르침', 다섯째 '원교圓敎' 즉 '원만하고 완전한 가르침'이다.

     첫째, 소승교란 무상無常, 무아無我, 사성제四聖, 12연기十二緣起 등의 기초 교리를 설한 「아함경」 등의 가르침을 말한다. 모든 대승 경전도  「아함경」에 뿌리는 두고 있으므로,   아함경을 대승적으로 풀이할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갖추어져 있고 보살도를 닦아서 누구나 부처를 이룰 수 있다는 점까지 「아함경」이 분명하게 설하지는 못한다. 그해서 화엄종은 일단 「아함경」을 소승적인 가르침으로 몰아붙이는 것이다. 현수 대사는 이 가르침에 "아직 어리석음이 남아 있다."거나 "보살이 아닌 성문 제자만을 위한다."는 점을 드러내기 위해서 저 소승교를  '우법소승교愚法小乘敎' 또는 '우법성문교愚法聲聞敎'라고 부르기도 한다.

     둘째, 대승시교는 공사상과 유식사상을 가르치는 불경을 뜻한다. 넓게 말하면 공과 유식은 모든 불경의 가르침을 포함한다. 공과 유식은 불교의 기준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좁혀서 말하면 공을 설해서 반야지혜를 가르치는 반야부 불경과, 마음의 연기를 살펴서 존재가 일어남을 설명하는 「해심밀경」이 여기에 속한다.

     셋째, 대승종교는 진여眞如의 연기를 설하는 「능가경」이나 「기신론」 등의 가르침을 뜻한다. 화엄종이 주창하는 대표적인 교리는 '성기' 즉 '온 세상은 여래성의 출현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 성기설을 받쳐 주려면 망심妄心의 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진심眞心 또는 진여심眞如心의 연기가 필요하다. 그래서 현수 대사는 진여연기를 가르치는 경론을 대승종교로 삼는다.

     넷째, 돈교는 언어나 점차적인 수행 단계를 초월해서 단숨에 궁극의 경지를 드러내고 전하는 가르침을 말한다. '마음이 청정하면 불국토가 청정하다'거나 침묵으로 모든 상대적인 것의 불이不二를 가르치는 「유마경」이 여기에 속한다.

     다섯째, 원교는 방편법을 넘어 원만하고 완전한 일승一乘의 가르침을 뜻한다. 현수 대사는 일단  「화엄경」과  「법화경」을 모두 들고 있지만, '일반적인 원교'와 '특별한 원교'를 구분함으로써 「화엄경」을 최고의 자리에 놓는다.



  { 화엄종 현수 대사의 5교판 }


소승교 小乘敎        소승을 위한 가르침                          주요경전  「아함경」

대승시교大乘始敎   대승 보살을 위한 기초적인 가르침             "      「해심밀경」

대승종교大乘終敎   대승의 궁극적인 가르침                         "     「능가경」「 기신론」 

돈교頓敎              단번에 불법 전체를 깨닫게 하는 가르침      "      「유마경」

원교圓敎              원만하고 완전한 가르침                          "      「화엄경」   「법화경」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img.jpg

댓글목록

해탈심게시봉사님의 댓글

해탈심게시봉사 작성일

{ 오늘의 부처님 말씀 }

" 아름다운 말은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

듣는 이로 하여금

목욕을 한 듯

상쾌하게 한다네."

                                                    < 불소행찬>


<    낙화    >    /    피천득

슬프게 아름다운 것
어젯밤 비바람에 지다
여울에 하얀 꽃잎들
아니 가고 머뭇거린다


<  눈 내리는 날  >    /  윤보영


들판 가득 눈이 내렸습니다

그대에게 글을 적을 수 있게

하늘이 배려했나 봅니다


그림까지 곁들어

적고 보니

들판보다 더 넓은

내 마음이었네요


오늘처럼,

매일 그대 생각하며

글만 적으면 좋겠어요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원만행님의 댓글

원만행 작성일

모두가다귀하고 거룩하고 감사할뿐입니다  .  묘한인생살이  바보시러운인생살이  멍텅구리  인생살이  모두의  행복과 성불을  합장합니다  .내일은  방생 날  !  바다방생  서로의  인격방생  사람방생 방생  방  생  방생      ,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우리의소망은 방생!  ..

ybr님의 댓글의 댓글

ybr 작성일

생기발랄하신 큰보살, 원만행보살님!~

온통 어둠에 휩싸여 있는 이른 시각의 소중한 댓글 감사 감사드립니다.

인격방생이란 단어가 무겁고 새롭게 다가옵니다.

바닷가라 몹시 춥습니다.

내일의 방생에 동참하시는
모든 귀한 분들께  깊이 감사드리겠습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

정광월 합장님의 댓글

정광월 합장 작성일

안면암 현판
어느 큰스님  필체 인지 궁금합니다

모든 분들  건강하셔요

ybr님의 댓글의 댓글

ybr 작성일

참 좋은 도반 정광월보살님!~

저도 궁금했습니다만,
저의 막연한 느낌과 생각으로는
석지명 큰스님 필체 같습니다.

나중에  설봉스님께 여쭤 볼게요.

소중한 댓글 감사 감사드립니다.

나무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약사여래불

                                                                  해탈심 합장